뇌 동정맥 기형 증상과 원인, 그리고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뇌동정맥 기형이란?
뇌 동정맥 기형은 선천적인 뇌 발생 과정에서 동맥과 정맥 사이에 발생했어야 할 모세 혈관이 생기지 않고, 뇌동맥에서 뇌정맥이 바로 연결되는 혈관 덩어리를 형성하는 질환을 이야기 합니다. 혈관 덩어리는 섭식 동맥, 기형 핵, 유출 정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뇌 동정맥 기형 환자는 동맥의 높은 압력이 병변을 통해 바로 정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뇌출혈의 발생 가능성이 올라가게 됩니다.
증상
대표적인 증상은 간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뇌 동정맥 기형 주변의 구조물은 높은 압력에 노출되어 뇌출혈을 유발하게 됩니다.그래서 뇌출혈이 발생하면 단순 두통을 비롯하여 반신마비, 언어 장애, 의식 장애 등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뇌 동정맥 기형이 주변 뇌 조직을 자극하여 간질 발작이 나타나게 됩니다. 만일 뇌출혈은 없으나 만성적인 두통을 생길 수 있습니다.
원인
주로 선천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후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환자가 성장하고 나이가 들면서 뇌 동정맥 기형의 크기 및 모양에 변화로 인해 생기기도 합니다.
치료방법
뇌 동정맥기형은 뇌전산화 단층촬영과 자가공명촬영, 뇌혈관 조영술로 인해 진단을 받게 됩니다. 하나씩 살펴보면 뇌 전산화 단층촬영, CT의 경우 주로 급성 출혈이 있을 때 확인 할 수있으며 자기공명영상 촬영, MRI의 경우 예전 출혈 증거 및 좀 더 자세한 뇌의 해부학적인 정보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벌집 모양의 뇌동정맥 기형이 보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뇌혈관조영술인 경우 뇌동정맥 기형을 확진할 수 있는 검사 입니다. 만일 뇌 동정맥 기형의 확진을 받게 되면 치료방법으로는 개두술, 동정맥 기형 절제술, 혈관 내 색전술,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등이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뇌 동정맥 기형의 크기, 해부학적 위치, 모양, 환자의 주 증상 및 신경학적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아쉬운 점은 뇌 동정맥 기형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은 없습니다. 대부분 수술을 하게 되며 약물은 환자의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보조 요법 사용하게 됩니다.
경과
뇌출혈이 가장 심각한 문제입니다. 약 10%의 환자가 첫 출혈로 인해서 사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50~80%의 환자들은 심한 신경학적 이상인 사지마비, 의식저하등이 동반되게 됩니다. 그리고 뇌 출혈의 위험은 일년에 약 1~4% 정도 발생하게 되며 해마다 증가하여 젊은 환자의 경우에는 평생 동안 뇌출혈의 위험이 가지고 살아야합니다. 그리고 한번 출혈이 있을 경우에는 재 출혈의 위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재 출혈은 첫 일년동안은 6~20%로 높아져 있어 재출혈에 대한 위험성도 알고 있어야합니다. 예방의 방법은 없습니다. 발견했을 때 최선의 치료를 할 뿐 입니다.
이상 '뇌 동정맥 기형 증상과 원인,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를 마치겠습니다.
'간호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향성 손발톱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0) | 2022.12.11 |
---|---|
구획 증후군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 (0) | 2022.12.06 |
남성 갱년기 증상과 원인 그리고 치료방법까지 알아보자. (0) | 2022.11.22 |
요로감염 증상과 치료을 알아보겠습니다. (0) | 2022.11.21 |
고막염의 증상과 치료, 치료경과 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