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농양증상과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농양이란?
세균이나 기생충에 의해 간 안에 고름집,농양이 생기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원인으로는 간에서 담즙이 배출되는 담관이 막히면 정체된 담즙 내에서 세균이 증식하며 농양이 생기게 됩니다. 혈액 안에서 세균이 자라는 균혈증 때문에 농양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화농성 간농양은 담석증, 간디스토마, 담낭염, 간 내의 악성 종양에 의해 막힌 담관 안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생기기도 합니다. 아메바성 간농양의 경우에는 이질아메바에 감염된 환자의 대변으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먹을 때 살아 있는 포낭을 섭취하여 감염되어 생기게 됩니다. 아메바성 간농양은 위생이 불량한 저개발국에서 주로 발생하며, 우리나라의 발생률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증상
화농성 간농양은 미열 및 오한, 상복부 통증, 오심, 구토, 설사, 무기력 등 몸에 염증이 있을 때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래서 다른 질환으로 잘못 진단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간농양이 심할 경우 상복부를 눌렀을 때 통증이 있으며, 간이 커져 있거나 황달이 생기기도 합니다. 만일 간농양이 의심되는 경우 혈액 검사와 간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농양의 진단은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수치와 염증 수치가 높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확 실한 진단은 영상학적 검사 간 초음파나 컴퓨터 단층촬영하게 됩니다. 또한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혈액 배양이나 배액된 고름의 배양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 결과를 확인하는 데 2~7일이 걸리므로, 간농양이 의심되면 일단 배농과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게 됩니다.
치료
간농양 치료는 개인의 상태, 농양의 개수, 원인 질환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화농성 간농양의 경우는 고름의 배출과 항생제 투여로 치료하게 됩니다. 또한 농양을 흡인하고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한 후 즉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합니다. 그리고 항생제는 2~3주간 주사제로 사용하고, 이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먹는 항생제로 바꾸어 총 4~6주간 치료하게 됩니다. 앞에서 이야기 한 것 처럼 화농성 간농양은 대부분 항생제로만 치료되지 않습니다. 고름집 내부에 있는 고름을 적절하게 제거하게 됩니다. 초음파로 농양을 보면서 피부를 통해 바늘을 농양 안쪽까지 찔러 넣는 초음파 유도하 농양 흡인 검사를 시행합니다. 이후 고름이 흘러나오도록 관을 삽입하는 경피적 배농술을 시행합니다. 경피적 배농술을 시행했는데 제대로 배출되 않는다면 수술을 하게 됩니다. 적절하게 치료를 받으면 합병증과 사망륭이 적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농양이 흉부나 복강 내로 파열하여 복막염을 일으키면 패혈증, 복막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상 '간 농양 증상과 치료방법에 대한 모든 걸 알아보자'를 마치겠습니다.
'간호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세포암종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0) | 2022.11.17 |
---|---|
소아마비 원인과 증상에 대한 모든 걸 알아보겠습니다. (0) | 2022.11.17 |
간 혈관종에 대한 증상과 치료방법까지 알아보자 (0) | 2022.11.16 |
근감소증 원인과 증상과 치료방법을 알아보자 (0) | 2022.11.15 |
고혈압의 증상 진단과 치료방법 알아보자 (1) | 2022.11.15 |